맨위로가기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시작으로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북도 청도군, 경산시, 영천시, 포항시 북구, 영덕군을 거쳐 울진군 원남면까지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 국도 제69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으며, 2001년 노선이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이후 여러 구간의 도로 개통 및 확장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 가락대로
    가락대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주요 도로로, 거가대로와 직결되어 송정동에서 죽림동에 이르며 부산신항역과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등 주요 시설을 지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 대동로 (김해시)
    대동로(김해시)는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과 대동면을 잇는 도로이며, 국도 제14호선, 서낙동로, 중앙고속도로와 연결되고 김해시 대동면을 지난다.
  • 청도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청도군의 교통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 울진군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울진군의 교통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국가지원지방도
노선 명칭부산 ~ 울진선
노선 번호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총 연장250.74km
기점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주요 경유지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김해시
경상남도 양산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영천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북도 울진군
종점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주요 교차 도로

2. 역사

1994년 '부산 ~ 영덕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69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192km로 정해져 있었다.[1]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1]

1996년 7월 19일 :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 부산 ~ 영덕선'''으로 지정[1]

2001년 8월 25일 : 종점을 영덕군 영덕읍에서 울진군 원남면으로 변경해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부산 ~ 울진선'''으로 변경[2]하면서 현재의 노선이 확정되었다.

이후 여러 구간의 도로가 개통되거나 확장되었다.

2. 1. 노선 지정과 변경

1994년 '부산 ~ 영덕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69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192km로 정해져 있었다.[1]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1]

1996년 7월 19일 :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 부산 ~ 영덕선'''으로 지정[1]

2001년 8월 25일 : 종점을 영덕군 영덕읍에서 울진군 원남면으로 변경해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부산 ~ 울진선'''으로 변경[2]하면서 현재의 노선이 확정되었다.

이후 여러 구간의 도로가 개통되거나 확장되었다.

2. 2. 주요 구간 개통

3. 주요 경유지


  • 부산광역시
  • * 강서구 (녹산동 - 생곡동 - 미음동 - 범방동 - 봉림동 - 죽동동 - 죽림동 - 식만동)

3. 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에서 시작하여 생곡동, 미음동, 범방동, 봉림동, 죽동동, 죽림동, 식만동을 지난다.[19] 성산삼거리가 기점이며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낙동남로)과 접속한다.[19] 세산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가락대로, 남해안대로)과 연결된다.[19] 지사교를 지나 조만포삼거리에서 수가로와 만난다.[19] 조만교와 맹리교를 지나 104호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가락 나들목과 연결된다.[19] 봉림지하차도에서 조만로와 교차하며, 통전 교차로에서 가락대로와 만난다. 통전교, 오봉교, 죽동교를 지나 죽림 교차로에서 호계로와 접속한다. 식만 분기점에서는 국도 제14호선(동서대로)과 만나며, 식만교까지 국도 제14호선과 중복된다.[19]

3. 2. 경상남도

경상남도 구간은 김해시양산시를 지난다.

김해시 구간은 불암동에서 시작하여 대동면상동면을 거친다. 불암동에서는 국도 제14호선과 중복되며, 불암지하차도에서 김해대로와 교차한다.[19] 수안 교차로에서는 대동로와 연결된다.[19] 대동 나들목에서는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19] 상동면에서는 상동 나들목을 통해 중앙고속도로와 간접 연결되며, 매리취수장을 지나 감로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동북로)과 중복된다.[19]

양산시 구간은 원동면을 지난다. 원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22호선 (원동로, 천태로)과 연결되고, 선장교 남단에서는 지방도 제1077호선 (늘밭로)과 교차하며, 어영교 동단에서 지방도 제1077호선 (어영길)과 다시 만난다.[19] 배태고개를 넘어 배내휴게소에서 지방도 제1051호선 (고례로, 어실로)과 연결된다.[19] 배내골 나들목(배내골 교차로)에서는 함양울산고속도로와 연결된다.

3. 3.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구간은 울주군 상북면을 통과한다.[19] 배내골, 배내1교, 배내2교, 배내터널(연장 70m)을 지나 배내골입구삼거리에서 석남로와 교차한다.[19] 석남사와 석남교를 지나 행정마을입구 교차로에서 다시 석남로와 만난다.[19] 덕현삼거리(덕현 교차로)에서 국도 제24호선 (울밀로)과 교차하고, 가지산온천을 지나 운문터널(연장 1,930m)로 이어진다.[19]

3. 4.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 운문면에서 시작하여 울진군 원남면까지 이어진다.[19]

청도군에서는 운문면금천면을 지난다. 운문면에서는 운문터널(연장 1,930m)을 지나 대천삼거리에서 국도 제20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된다.[19] 금천면에서는 동곡삼거리, 금천네거리를 거쳐 동곡네거리에서 다시 국도 제20호선과 중복된다.[19]

경산시 구간은 남산면, 자인면, 진량읍, 하양읍, 와촌면을 통과한다. 남산면에서는 자원순환센터 교차로, 갈지 교차로, 경리 교차로 등을 지난다.[19] 자인면에서는 옥천 교차로, 원당 교차로, 울옥 교차로, 자인 교차로, 남촌네거리, 단북네거리를 지난다.[19] 진량읍에서는 황제 교차로, 신상 교차로, 외환은행네거리, 진량중학교, 진량고등학교를 지나 봉회네거리, 대구대삼거리를 거친다.[19] 하양읍에서는 금락지하차도, 금락네거리를 지나는데, 금락네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된다.[19] 와촌면에서는 하교, 계당교 등을 지난다.[19]

영천시 구간은 금호읍, 서부동, 중앙동, 동부동, 임고면, 자양면을 지난다. 금호읍에서는 교대사거리, 금호 교차로, 냉천 교차로, 원제삼거리를 지나는데, 금호 교차로와 냉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과 중복된다.[19] 서부동에서는 영천교통, 이마트 영천점, 영천여자고등학교, 서문육거리를 지난다.[19] 중앙동에서는 중앙사거리, 시청오거리를, 동부동에서는 동부사거리, 신망정사거리, 조교삼거리, 언하공단사거리, 동영천 나들목(영천상주고속도로)을 지난다.[19] 임고면에서는 임고 교차로, 양항 교차로, 임고서원 교차로, 임고 나들목(새만금포항고속도로)을 지난다.[19] 자양면에서는 영천댐, 용화교, 자양면 행정복지센터, 충효삼거리, 충효교 등을 지난다.[19]

포항시 북구 죽장면 구간은 지동삼거리에서 국도 제31호선과 중복되며, 죽장삼거리에서 다시 국도 제31호선과 분기된다.[19] 상옥리에서는 지방도 제921호선과 교차하고, 상옥복지회관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먹방골에서 분기된다.[19]

영덕군 구간은 달산면, 지품면, 영해면, 창수면을 지난다. 달산면에서는 옥계유원지에서 지방도 제930호선과 중복되었다가 옥산리에서 분기되고, 흥기교에서 지방도 제914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대지삼거리에서 분기된다.[19] 지품면에서는 신양삼거리와 지품면사무소에서 국도 제34호선과 중복된다.[19] 영해면에서는 원구1리에서 지방도 제918호선과 중복되었다가 신기리에서 분기된다.[19] 창수면에서는 삼계2교 남단, 삼계리 등을 지난다.[19]

울진군 구간은 온정면과 원남면을 지난다. 온정면에서는 조금리, 소태2리에서 국도 제88호선과 교차한다. 원남면에서는 기향교 북단에서 종료된다.[19]

4. 노선



=== 부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간은 성산삼거리를 기점으로 시작한다.[19] 성산삼거리에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낙동남로)과 교차하며, 세산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가락대로, 남해안대로)과 만난다. 이후 지사교를 지나 조만포삼거리에서 수가로와 교차하고, 조만교와 맹리교를 지난다. 가락 나들목에서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연결된다. 봉림지하차도에서는 조만로가 교차하며, 통전 교차로에서 가락대로와 다시 만난다. 통전교, 오봉교, 죽동교를 지나 죽림 교차로에서 호계로와 교차한다. 식만 분기점에서는 국도 제14호선(동서대로)과 중복되며, 식만교를 지난다.

=== 경상남도 ===

김해시 구간은 불암동에서 국도 제14호선과 중복되며, 불암지하차도에서 김해대로와 교차한다.[19] 대동면에서는 대동로,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대동 나들목)와 교차한다. 상동면에서는 상동로와 교차하며,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상동 나들목)와 간접 연결된다. 감로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동북로)과 중복된다.[19]

양산시 구간은 원동면에서 시작하며, 원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22호선 (원동로, 천태로)과 교차한다. 선장교 남단과 어영교 동단에서 지방도 제1077호선 (각각 늘밭로, 어영길)과 중복된다. 배내휴게소에서는 지방도 제1051호선 (고례로, 어실로)과 교차하며, 배내골 교차로(배내골 나들목)에서 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와 연결된다.[19]

=== 울산광역시 ===

울주군 상북면 배내골에서 시작하여 배내1교, 배내2교를 지나 배내터널(연장 70m)을 통과한다.[19] 배내골입구삼거리에서 석남로와 교차하며, 석남사와 석남교를 지난다. 행정마을입구 교차로에서 다시 석남로와 만나고, 덕현삼거리(덕현 교차로)에서 국도 제24호선(울밀로)과 교차한다.[19] 이후 가지산온천을 지나 운문터널(연장 1,930m)로 이어진다.[19]

=== 경상북도 ===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 운문면에서 시작하여 울진군 매화면에서 끝난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운문터널을 지나 신원리에서 운문사길과 교차하고, 오진1교 서단에서 오진길과 만난다. 대천삼거리에서는 국도 제20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된다.[19] 금천면에서는 동곡삼거리에서 금천로와 만나고, 금천네거리에서 지방도 제919호선(선암로)와, 동곡네거리에서 국도 제20호선(청려로)과 다시 만난다.[19]

경산시 남산면에서는 평기2 교차로에서 평기2길과 만나고, 자원순환센터 교차로, 평기1 교차로, 갈지 교차로, 경리2 교차로, 경동 교차로, 경리1 교차로를 지난다. 자인면에서는 옥천 교차로, 원당 교차로, 울옥 교차로를 지나 자인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19호선(원효로)와 교차한다.[19] 남촌네거리와 단북네거리에서는 각각 일연로 및 한장군로와 만난다. 진량읍에서는 황제 교차로, 신상 교차로, 외환은행네거리를 지나고, 진량중학교, 진량고등학교 앞에서 지방도 제919호선(대학로)와 중복된다.[19] 봉회네거리에서 공단로 및 버티미길과 만나고, 부하교를 건너 대구대삼거리에서 대구대로와 만난다. 하양읍에서는 하양교, 금락지하차도를 지나 금락네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대경로), 지방도 제919호선(대학로)와 교차한다.[19] 하주교를 지나 동서 교차로에서 하양로 및 한사들길과 만난다. 와촌면에서는 계당길과 만나는 교차로를 지나 계당교를 건넌다.

영천시 금호읍에서는 교대사거리에서 지방도 제909호선(사일로, 교대길)과 교차하고, 금호 교차로와 냉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과 중복된다.[19] 원제삼거리에서 고수골길과 만난다. 서부동에서는 영천교통, 이마트 영천점, 영양교, 영천여자고등학교를 지나 서문육거리에서 강변로, 운동장로, 장수로, 수원지길과 교차한다. 중앙동에서는 중앙사거리에서 천문로와, 시청오거리에서 시청로, 완산로, 동문길과 만난다. 동부동에서는 동부사거리에서 동부로, 신망정사거리에서 망정로, 영화로와 만나고, 조교삼거리에서 호국로와 교차한다. 언하공단사거리에서는 언하공단로와 만나고, 동영천IC 교차로(동영천 나들목)에서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임고면에서는 임고 교차로에서 국도 제28호선과 만나고, 양항 교차로에서 포은로와 교차하며, 임고서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21호선(운주로)과 만난다.[19] 임고 교차로에서 다시 포은로와 만나고, 양향교, 평천초등학교, 평천교를 지난다. 임고 나들목에서는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영천댐을 지나 자양면에서는 용화교, 영천시공예촌캠핑장(구 자양초등학교), 자양면 행정복지센터, 원각교를 지나고, (삼귀)에서 신방로, 충효삼거리에서 별빛로와 만난다. 충효교를 지나 (도일리)에서 도일길과 만난다.

포항시 북구 죽장면에서는 지동교를 지나 지동삼거리에서 국도 제31호선(새마을로)와 중복된다.[19] 지동초등학교, 죽장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죽장삼거리에서 다시 국도 제31호선(새마을로)와 만난다. (죽장정류소), 송내교, 가사교, 가사1교, 가사2교, 가사3교, 가사4교를 지나 (상옥리)에서 지방도 제921호선(기북로)과 교차하고, (상옥1리)에서 수목원로와 만난다. 상옥복지회관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수목원로79번길)과 중복되고, 죽장면 행정복지센터 상옥출장소, 죽장초등학교 상옥분교장, 기계중학교 상옥분교장을 지난다. (먹방골)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부남로)와 다시 만난다. 먹방교, 향로교, 마두교, 포항학생야영장, 조교, 신교, 옥녀교 등을 지나 달산면으로 이어진다.

영덕군 달산면에서는 (옥계유원지)에서 지방도 제930호선(팔각산로)와 중복된다.[19] 옥산교, 옥산초등학교 (폐교)를 지나 (옥산리)에서 지방도 제930호선(산정로)와 다시 만난다. 흥기교에서 지방도 제914호선(강산로)와 중복되고, 달산면사무소, 영덕예술촌 (구 달산초등학교), 영덕중학교 달산분교 (폐교)를 지나 대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4호선(주왕산로)와 다시 만난다. 지품면에서는 대지교, 신양교를 지나 신양삼거리에서 국도 제34호선(경동로)와 중복된다.[19] 신양강변터널(연장 약 120m)을 지나 지품면사무소에서 국도 제34호선(경동로)와 다시 만난다. 지품초등학교, 독지교, 도계1교, 도계2교, 도계3교, 도계4교를 지나 도계2리에서 비포장 구간이 시작된다. 영해면에서는 (대1리)에서 대동로와 만나고, 대1교, 대2교를 지난다. 묘곡1리, 임실교, 원구초등학교 (폐교)를 지나 (원구1리)에서 지방도 제918호선(창수영해로)와 중복된다.[19] 신기리에서 지방도 제918호선(영양창수로)와 다시 만난다. 창수면에서는 창수대교, 창수초등학교 미곡분교 (폐교), 창수초등학교 오촌분교 (폐교)를 지나 (삼계2교 남단)에서 오서로와 만난다.

울진군 온정면에서는 원수목이를 지나 조금리, 조금교, 조금1교를 거쳐 (소태2리)에서 국도 제88호선(백암온천로)와 만난다.[19] 소태리, 선구2리, 외선미리를 지나 매화면으로 이어진다. 매화면에서는 길곡리, (잠수교), 죽전2교, 매화초등학교 길곡분교 (폐교), 죽전1교, 길곡3교, 길곡2교, 길곡1교, 갈마2교, 갈마1교, 송전교, 동막교, 가양3교, 기향교를 지나 (기향교 북단)에서 원남로와 만나며 종점을 맞는다.

4. 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간은 성산삼거리를 기점으로 시작한다.[19] 성산삼거리에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낙동남로)과 교차하며, 세산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가락대로, 남해안대로)과 만난다. 이후 지사교를 지나 조만포삼거리에서 수가로와 교차하고, 조만교와 맹리교를 지난다. 가락 나들목에서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연결된다. 봉림지하차도에서는 조만로가 교차하며, 통전 교차로에서 가락대로와 다시 만난다. 통전교, 오봉교, 죽동교를 지나 죽림 교차로에서 호계로와 교차한다. 식만 분기점에서는 국도 제14호선(동서대로)과 중복되며, 식만교를 지난다.

4. 2. 경상남도

김해시 구간은 불암동에서 국도 제14호선과 중복되며, 불암지하차도에서 김해대로와 교차한다.[19] 대동면에서는 대동로, 55호선 중앙고속도로 (대동 나들목)와 교차한다. 상동면에서는 상동로와 교차하며,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상동 나들목)와 간접 연결된다. 감로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동북로)과 중복된다.[19]

양산시 구간은 원동면에서 시작하며, 원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22호선 (원동로, 천태로)과 교차한다. 선장교 남단과 어영교 동단에서 지방도 제1077호선 (각각 늘밭로, 어영길)과 중복된다. 배내휴게소에서는 지방도 제1051호선 (고례로, 어실로)과 교차하며, 배내골 교차로(배내골 나들목)에서 14호선 함양울산고속도로와 연결된다.[19]

4. 3.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배내골에서 시작하여 배내1교, 배내2교를 지나 배내터널(연장 70m)을 통과한다.[19] 배내골입구삼거리에서 석남로와 교차하며, 석남사와 석남교를 지난다. 행정마을입구 교차로에서 다시 석남로와 만나고, 덕현삼거리(덕현 교차로)에서 국도 제24호선(울밀로)과 교차한다.[19] 이후 가지산온천을 지나 운문터널(연장 1,930m)로 이어진다.[19]

4. 4.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 운문면에서 시작하여 울진군 매화면에서 끝난다.

청도군 운문면에서는 운문터널을 지나 신원리에서 운문사길과 교차하고, 오진1교 서단에서 오진길과 만난다. 대천삼거리에서는 국도 제20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된다.[19] 금천면에서는 동곡삼거리에서 금천로와 만나고, 금천네거리에서 지방도 제919호선(선암로)와, 동곡네거리에서 국도 제20호선(청려로)과 다시 만난다.[19]

경산시 남산면에서는 평기2 교차로에서 평기2길과 만나고, 자원순환센터 교차로, 평기1 교차로, 갈지 교차로, 경리2 교차로, 경동 교차로, 경리1 교차로를 지난다. 자인면에서는 옥천 교차로, 원당 교차로, 울옥 교차로를 지나 자인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19호선(원효로)와 교차한다.[19] 남촌네거리와 단북네거리에서는 각각 일연로 및 한장군로와 만난다. 진량읍에서는 황제 교차로, 신상 교차로, 외환은행네거리를 지나고, 진량중학교, 진량고등학교 앞에서 지방도 제919호선(대학로)와 중복된다.[19] 봉회네거리에서 공단로 및 버티미길과 만나고, 부하교를 건너 대구대삼거리에서 대구대로와 만난다. 하양읍에서는 하양교, 금락지하차도를 지나 금락네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대경로), 지방도 제919호선(대학로)와 교차한다.[19] 하주교를 지나 동서 교차로에서 하양로 및 한사들길과 만난다. 와촌면에서는 계당길과 만나는 교차로를 지나 계당교를 건넌다.

영천시 금호읍에서는 교대사거리에서 지방도 제909호선(사일로, 교대길)과 교차하고, 금호 교차로와 냉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과 중복된다.[19] 원제삼거리에서 고수골길과 만난다. 서부동에서는 영천교통, 이마트 영천점, 영양교, 영천여자고등학교를 지나 서문육거리에서 강변로, 운동장로, 장수로, 수원지길과 교차한다. 중앙동에서는 중앙사거리에서 천문로와, 시청오거리에서 시청로, 완산로, 동문길과 만난다. 동부동에서는 동부사거리에서 동부로, 신망정사거리에서 망정로, 영화로와 만나고, 조교삼거리에서 호국로와 교차한다. 언하공단사거리에서는 언하공단로와 만나고, 동영천IC 교차로(동영천 나들목)에서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임고면에서는 임고 교차로에서 국도 제28호선과 만나고, 양항 교차로에서 포은로와 교차하며, 임고서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21호선(운주로)과 만난다.[19] 임고 교차로에서 다시 포은로와 만나고, 양향교, 평천초등학교, 평천교를 지난다. 임고 나들목에서는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영천댐을 지나 자양면에서는 용화교, 영천시공예촌캠핑장(구 자양초등학교), 자양면 행정복지센터, 원각교를 지나고, (삼귀)에서 신방로, 충효삼거리에서 별빛로와 만난다. 충효교를 지나 (도일리)에서 도일길과 만난다.

포항시 북구 죽장면에서는 지동교를 지나 지동삼거리에서 국도 제31호선(새마을로)와 중복된다.[19] 지동초등학교, 죽장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죽장삼거리에서 다시 국도 제31호선(새마을로)와 만난다. (죽장정류소), 송내교, 가사교, 가사1교, 가사2교, 가사3교, 가사4교를 지나 (상옥리)에서 지방도 제921호선(기북로)과 교차하고, (상옥1리)에서 수목원로와 만난다. 상옥복지회관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수목원로79번길)과 중복되고, 죽장면 행정복지센터 상옥출장소, 죽장초등학교 상옥분교장, 기계중학교 상옥분교장을 지난다. (먹방골)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부남로)와 다시 만난다. 먹방교, 향로교, 마두교, 포항학생야영장, 조교, 신교, 옥녀교 등을 지나 달산면으로 이어진다.

영덕군 달산면에서는 (옥계유원지)에서 지방도 제930호선(팔각산로)와 중복된다.[19] 옥산교, 옥산초등학교 (폐교)를 지나 (옥산리)에서 지방도 제930호선(산정로)와 다시 만난다. 흥기교에서 지방도 제914호선(강산로)와 중복되고, 달산면사무소, 영덕예술촌 (구 달산초등학교), 영덕중학교 달산분교 (폐교)를 지나 대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14호선(주왕산로)와 다시 만난다. 지품면에서는 대지교, 신양교를 지나 신양삼거리에서 국도 제34호선(경동로)와 중복된다.[19] 신양강변터널(연장 약 120m)을 지나 지품면사무소에서 국도 제34호선(경동로)와 다시 만난다. 지품초등학교, 독지교, 도계1교, 도계2교, 도계3교, 도계4교를 지나 도계2리에서 비포장 구간이 시작된다. 영해면에서는 (대1리)에서 대동로와 만나고, 대1교, 대2교를 지난다. 묘곡1리, 임실교, 원구초등학교 (폐교)를 지나 (원구1리)에서 지방도 제918호선(창수영해로)와 중복된다.[19] 신기리에서 지방도 제918호선(영양창수로)와 다시 만난다. 창수면에서는 창수대교, 창수초등학교 미곡분교 (폐교), 창수초등학교 오촌분교 (폐교)를 지나 (삼계2교 남단)에서 오서로와 만난다.

울진군 온정면에서는 원수목이를 지나 조금리, 조금교, 조금1교를 거쳐 (소태2리)에서 국도 제88호선(백암온천로)와 만난다.[19] 소태리, 선구2리, 외선미리를 지나 매화면으로 이어진다. 매화면에서는 길곡리, (잠수교), 죽전2교, 매화초등학교 길곡분교 (폐교), 죽전1교, 길곡3교, 길곡2교, 길곡1교, 갈마2교, 갈마1교, 송전교, 동막교, 가양3교, 기향교를 지나 (기향교 북단)에서 원남로와 만나며 종점을 맞는다.

5. 도로명

부산광역시 구간은 강서구 성산삼거리에서 세산 교차로까지 생곡로, 세산 교차로에서 통전 교차로까지 가락대로, 통전 교차로에서 식만교까지 서낙동로로 구성된다.

경상남도 구간은 김해시 불암동 식만교에서 대동면 신명2교까지 서낙동로, 김해시 대동면 원지삼거리에서 덕산삼거리까지 대동로, 덕산삼거리에서 상동면 감로리까지 동북로, 양산시 원동면 원리삼거리에서 배내휴게소까지 원동로, 배내휴게소에서 배내골까지 배내로로 구성된다.

울산광역시 구간은 울주군 상북면 배내골에서 배내골입구삼거리까지 배내로, 배내골입구삼거리에서 행정마을입구 교차로까지 석남로, 행정마을입구 교차로에서 운문재까지 운문로로 구성된다.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 운문면 운문재에서 대천삼거리까지 운문로, 대천삼거리에서 금천면 동곡네거리까지 청려로, 동곡네거리에서 갈지리까지 금천로, 경산시 남산면 평기리에서 자인면 울옥 교차로까지 설총로, 울옥 교차로에서 남촌네거리까지 한장군로, 남촌네거리에서 단북네거리까지 일연로, 단북네거리에서 진량읍 외환은행네거리까지 공단로, 외환은행네거리에서 진량고등학교까지 다문로, 진량고등학교에서 하양읍 금락네거리까지 대학로, 금락네거리에서 영천시 금호읍 냉천 교차로까지 대경로, 냉천 교차로에서 원제삼거리까지 금호로, 원제삼거리에서 중앙동 시청오거리까지 최무선로, 시청오거리에서 동부동 조교삼거리까지 호국로, 조교삼거리에서 포항시 북구 죽장면 지동삼거리까지 포은로, 지동삼거리에서 죽장삼거리까지 새마을로, 죽장삼거리에서 영덕군 달산면 옥계유원지까지 죽장로, 옥계유원지에서 지품면 신양삼거리까지 팔각산로, 신양삼거리에서 지품면사무소까지 경동로, 지품면사무소에서 영해면 대1리까지 지영로, 대1리에서 원구1리까지 대동로, 원구1리에서 창수면 신기리까지 창수영해로, 신기리에서 삼계2교 남단까지 오서로, 삼계2교 남단에서 울진군 온정면 소태2리까지 온정로, 울진군 온정면 외선미리에서 매화면 기향교 북단까지 온매로로 구성된다.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2] 법령 대통령령 제17349호 공포,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3]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2-285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02-10-28
[4]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3-258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03-08-04
[5]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4-189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04-05-17
[6]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6-128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06-02-27
[7]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7-752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07-09-20
[8]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7-810호, 제2007-811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07-10-15
[9]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7-658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7-10-25
[10]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9-15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9-01-08
[11]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9-16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9-01-08
[12]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9-35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9-01-15
[13]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9-684호, 김해시공고 제2009-1502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김해시 2009-09-11
[14] 공고 부산광역시공고 제2009-270호 http://news.busan.go[...] 부산광역시 2009-02-25
[15]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8-247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18-02-19
[16]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8-239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18-02-19
[17]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9-1973호 http://www.gb.go.kr/[...] 경상북도 2019-12-16
[18]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20-1593호 https://www.gb.go.kr[...] 경상북도 2020-09-14
[19]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